이번 한가위명절에 송편 많이들 해드셨죠?
세계에서 우리민족 만큼 떡에 대한 애착과 종류가 많은 민족도 드물 것입니다.
시시때때 명절이며 가족들의 생일, 제사를 비롯하여 각종 기념일에도 떡을
개업식, 또는 시작을 의미하는 어떤 자리에도 꼭 떡을 마련하기도 하지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떡을 주위에 친지들과 이웃들과 함께 나누어 먹는다는
사실입니다.
떡의 유래는 단군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떡의 어원은 바로 덕德에서 나왔다고 해요.
덕이란 어진행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 덕은 단군시대에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의 기본으로 자리 잡은
덕치德治에서 비롯되었으며, 이것이 단군시대의 종교인 덕교德敎를 탄생하게 한 것이라고 하네요.
덕치나 덕교는 바로 단군왕검의 크고 넓은 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덕은 단군왕검의 상징이 되었답니다.
우리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나아라고 하는 말은 바로
단군왕검 같은 아들을 나아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우리민족은 매달 때가되면 떡을 하여 혼자먹지 않고 반드시 이웃들과 나눠 먹었는데
이렇게 나눠먹는 것이 바로 덕을 베푸는 것으로 덕교의 실천인 것입니다.

올 추석때 가족들이 함께 만든 송편입니다.
각자의 성격이 떡에도 다 드러나는 것 같아요.
오밀조밀하고 작고 예쁘게 만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투박하면서도 큼직하게
만드는 사람도 있고 말이지요.
떡을 만들어 나누어 먹던 조상들의 지혜와 덕을 우리들이 배워
함께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야후검색)--------------------------------------------------------------
떡의 종류와 의미
백설기 : 깨끗하고 병이 없으며 백이라는 숫자의 의미. 즉 완전함을 뜻한다.
수수팥떡 : 오만잡귀를 물리쳐 액을 면하라는 의미.
인절미 : 마음과 육체가 찰떡같이 하나로 붙어 있으라는 의미.
찰떡처럼 부부금실이 귀착되라는 의미
오색송편 : 오행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속에 있는 고물처럼 꽉 차고, 감싸고 있는 떡같이 넓은 마음을 가지라는 의미, 만물의 조화.
무지개떡 : 팔선녀를 의미하고 있으며 복과 재물을 주라는 의미
절편 : 흰색, 쑥색은 부부간의 조화를 의미
송편 : 부부의 가정에 속이 꽉 차고 넓은 마음으로 화합하라는 의미
화전주악 : 아름다움, 고상함. 품위
기주증편 : 무병, 탈 없음을 기원
찰깨끼 : 세상의 모든 좋은 일을 포함한다는 의미
봉채떡 : 부부의 금실 및 화목, 액막이
봉채떡은 봉치떡이라고도 하며 혼례 전 함이 들어올 때 떡을 해놓고 함을 맞이하던 풍속에서 만들던 떡이다. 시루에 붉은팥고물을 두고 물 내린 찹쌀가루을 두 켜로 안친다. 그 위에 다시 고물을 얹고 맨 위에는 대추와 밤을 돌려 담는다. 떡을 쪄낸 뒤 시루째 상 위에 올렸다.
떡을 만들 때 찹쌀가루를 쓰는 것은 부부의 금실이 찰떡처럼 평생을 화목하게 잘 합쳐지라는 뜻이고 두 켜를 놓는 것도 부부를 의미한다. 붉은팥고물은 붉은색이 액을 면하게 해준다는 의미이고 대추는 아들을, 밤은 딸을 상징한다.
해떡 : 밝은 태양의 양기가 집안에 가득 들어와 좋은 일만 가득하라는 의미
달떡 : 보름달처럼 밝게 비추이고 둥글게 채우며 잘 살도록 기원
천두떡 : 별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 년 농사가 잘되어 풍년을 들기를 기원하는 의미
기미떡 : 칠성떡으로 칠성의 명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